본문 바로가기
좋은생각

어버이날의 유래와 탄생배경 법적 근거와 의미

by 새로운 2025. 5. 8.
반응형

매년 5월 8일이 되면 전국 곳곳에서 부모님을 위한 감사의 마음이 넘쳐납니다. 하지만 많은 이들이 어버이날의 정확한 유래와 제정 배경, 법적 근거에 대해서는 자세히 알지 못합니다. 이 글에서는 어버이날이 어떻게 시작되었는지, 왜 5월 8일로 지정되었는지, 관련된 법적 기반은 무엇인지 등을 역사적 관점에서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어버이날의 유래와 탄생 배경

어버이날의 기원은 1956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당시 ‘청소년 적십자(RCY)’ 운동을 전개하던 대한적십자사는 ‘어머니 날’을 처음으로 제정해 행사를 치렀습니다. 이 행사는 미국의 'Mother's Day'를 모델로 하였으며, 어머니의 사랑과 헌신을 기리는 날로 자리 잡기 시작했습니다. 초기에는 매년 5월 8일을 '어머니 날'로 지정해 기념했으며, 점차 학교와 지역사회에서도 이 날을 중심으로 관련 행사가 확대되었습니다. 하지만 가족 구조와 사회 분위기가 변화하면서, 아버지에 대한 감사 표현도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는 여론이 형성되었습니다. 결국 1973년, 정부는 '어머니 날'을 ‘어버이날’로 공식 명칭을 변경하며, 아버지와 어머니 모두를 기리는 기념일로 승격시켰습니다. 이로 인해 대한민국은 부모 모두에게 감사를 전하는 날로 5월 8일을 공식 지정하게 되었습니다.

어버이날과 법적 근거

어버이날은 단순한 민간 행사나 전통 풍습이 아닌, 「각종 기념일 등에 관한 규정」에 의해 국가가 공인한 기념일입니다. 해당 규정은 대통령령으로 제정된 법령이며, 제2조에 ‘어버이날은 매년 5월 8일로 한다’는 조항이 명시되어 있습니다. 이 규정은 1973년 대통령령 제6615호로 공포되어 시행되었으며, 공휴일은 아니지만 국가적으로 인정받는 공식 기념일입니다. 이 조항은 어버이날의 법적 지위를 명확히 하며, 교육기관이나 공공기관에서의 행사 진행 근거가 됩니다. 또한 ‘효행 장려’와 관련된 여러 지방자치단체 조례나 복지법에서도 어버이날과 관련된 조항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일부 시·군에서는 어버이날을 기념하여 ‘효행자 표창’을 수여하고, 경로당 및 복지센터에서 다양한 행사를 주관하기도 합니다. 이는 어버이날이 단순한 문화 행사를 넘어 제도적 기반 위에 자리 잡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어버이날 관련 상징과 그 의미

어버이날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은 바로 카네이션입니다. 이 꽃은 어버이날의 상징으로 자리 잡아, 이날 부모님 가슴에 달아 드리는 것이 전통처럼 굳어졌습니다. 붉은 카네이션은 살아계신 부모님께, 흰 카네이션은 돌아가신 부모님을 기리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카네이션의 의미는 어버이날의 기원인 미국 ‘Mother’s Day’에서 유래하였고, 이를 그대로 수용하면서도 한국적인 정서와 결합하여 감성적인 기념 풍습으로 발전했습니다. 다만 최근에는 꽃보다 편지, 영상, 소규모 여행 등 정서적인 선물 방식으로 변화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또한 ‘효도’와 ‘가족 사랑’의 정신을 확산시키는 교육적 목적도 어버이날에는 포함되어 있습니다. 학교에서는 효행 관련 교육과 활동을 진행하며, 언론과 정부기관은 효의 의미를 되새기는 캠페인을 벌이곤 합니다.

 

어버이날은 단순히 부모님께 선물이나 카네이션을 드리는 날을 넘어, 역사적 배경과 법적 근거를 지닌 중요한 기념일입니다. 어머니 날에서 시작해, 아버지를 포함한 모든 부모에게 감사하는 날로 발전한 만큼, 우리는 이 날을 통해 가정의 소중함과 효의 정신을 되새겨야 할 때입니다. 다가오는 어버이날, 단순한 이벤트가 아닌 진심을 담은 시간으로 채워보는 건 어떨까요?

반응형